심리센터 김동철 심리케어/김동철 심리케어

[심리상담] 자위중독, 어떻게 해야할까요?

마티스 Misul 2018. 3. 23. 19:36


안녕하세요, 김동철 심리케어입니다 ^^

혼자서는 도저히 통제가 되지 않고
그렇다고 누구에게 말하기도 너무 어려운 이야기
오늘은 자위중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위중독이란?


자위행위는 성적으로 성숙된 사람이
인간의 기본 욕구 중 한 가지인
성적 욕구를 스스로 충족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행동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데요

그러나 자위중독의 경우
일상생활을 하는 데 지장이 있을 정도로
충동적인 자위행위 및 집착행동으로 인해
스스로 컨트롤이 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행동을 통해 전혀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며
오히려 하지 않으면 불안함을 느끼는
일종의 강박행동 및 장애로 볼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서
2011년 한 브라질 10대 소년이
하룻밤 사이 42번의 자위행동을 하여
사망에 이르게 된 사건이 있었죠
실제 이 사건에서 소년의 어머니는
아들의 증상을 이미 알고 있었고
병원에 방문할 예정이었다고 합니다





자위중독에 기준이 있나요?


자위중독에 대한 정해진 기준은 없습니다

단순히 자위행동을 하는 횟수나 시간으로
중독이라는 진단이 내려지지는 않습니다

가령 매일 자위행동을 하지만
생활함에 있어 아무런 지장이 없고 
대인관계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면
이는 자위중독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죠

그러나 보통 자신이 자위중독임을
깨닫고 괴로워하는 사람들이 대다수라고 합니다

대개 자위행동 전에는 신체적 정신적 긴장감을 느껴
주체할 수 없는 충동 및 집착을 경험하게 되어
행동에 옮기게 되고, 그 후에는 충동을 조절하지 못한
자신을 비난하고 죄책감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잠깐!!
'유아자위행동'이랑은 어떻게 다른가요?



아이를 키우시는 부모님들의 경우
"아이가 성기를 만지는데 어떻게 하나요?"
"만지는 행동이 지나친 것 같아요"
라며 질문을 하시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유아자위는 정상적 아동발달과정에 속합니다

많은 경우 5~6세 사이에 발생하여
초등학교 입학 전 후로 사라지게 되는데요

흔히 사춘기 이전에 발생하는 자위행동은
성적 쾌락을 느끼기 위함이 아닌
신체적으로 다른 부위와
만지는 느낌을 다르게 받아들여
하나의 감각놀이로서 인지합니다

아이들의 자위행동이 지나치다면
부모간 애착관계 형성이 잘 되었는지
놀이에 대한 욕구가 채워지지 않고 있는지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 할만한 상황에 놓여있는지
다방면으로 아이의 마음을 점검해주세요


▼ 유아자위 관련 포스트 읽으러 가기 ▼

http://naver.me/FcCT86fr





자위중독, 극복방법은?


성인의 자위행동 역시 정서적으로 불안하거나
스트레스 상황에 놓여있을 때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또 다른 개인적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무엇 때문에 자위행동에 과몰입하게 되었는지
스스로 되돌아보고 체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  혼자 있는 시간을 줄이세요

혼자 있는 시간에 대부분 자위행동을 하기 때문에
혼자 보내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일 사람들을 만나는 것은 어렵지만
가까운 사람들과 자주 시간을 보내세요


2)  계획을 세우세요

하루 중 가장 자위행동에 대한 유혹이 심한 때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계획하세요
처음부터 '난 앞으로 절대 자위하지 않겠어'
라고 한다면 오히려 실천이 어려울 수 있으니
가장 심한 시간에 무엇을 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실천해보세요


3)  시간과 에너지를 다른 곳에 쓰세요

야외에서 할 수 있는 운동과 같이
활동적인 취미활동을 만드는 것도 좋고
운동량을 늘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몸을 바쁘게 움직이며
규칙적인 생활을 하도록 노력해보세요


4) 도움을 요청하세요

자위중독 역시 모든 '중독증세'가 그러하듯
스스로 극복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기 때문에
주변에서 도움을 줄 사람이 필요합니다
가족이나 지인에게 알리기 어려운
더욱 예민하고 어려운 주제인 만큼
상담 전문가의 상담 및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자위중독이 발생되기 까지는
개인에 따라 그 원인이 상이합니다
따라서 전문가 상담을 통해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하며
자신의 습관을 교정해 나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김동철 심리케어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 온라인 상담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상담으로 가볍게 궁금증을 
해소 해보는건 어떨까요?

▼ 구 홈페이지와 신 홈페이지 주소 입니다 ▼

http://kimdongchulinstitute.kr/bbs/board.php?bo_table=sub2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