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센터 김동철 심리케어/김동철 심리케어

[심리상담] 충동조절장애와 반사회적 범죄심리

마티스 Misul 2016. 11. 24. 17:48

"사회적 범죄, 대체 무엇 때문에?"



21세기,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범죄 '묻지마 살인',

가장 이슈가 되었던 '강남역 묻지마 사건'을 대표적으로 기억하실텐데요.

해를 거듭할 수록 묻지마 범죄 발생 빈도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이러한 범죄를 일으키는 심리적 요인은 무엇일까요?



통계에 의하면, 사회에서 발생되는 여러 범죄 중

묻지마 범죄자의 약 절반 이상이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특징적으로는 현실 혹은 사회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충동조절장애(Impulse control disorders)를 가지고 있어,

순간의 욱 하는 마음에 범죄를 일으키는 것이죠.

충동조절장애란, 개인의 본능적 욕구가 지나치게 강하거나 자기방어 기능이 약해짐으로써,

내적으로 발생하는 충동적 행동을 조절하지 못하는 일종의 심리적 질환입니다.

발생원인은 정신역동적, 생물학적, 정신사회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묻지마 범죄를 일으키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주로 정신사회적 요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된 특징으로는, 행위의 동기가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행동을 함으로써

본인 스스로의 쾌감이나 만족감을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범죄를 일으키고 죄책감이나 후회를 할 수도 있으나,

많은 경우 본인이 죄를 지었다는 것에 대한 큰 죄책감을 느끼지 못합니다.

충동조절장애에도 여러 종류가 존재하지만,

묻지마 범죄를 비롯한 방화, 절도, 폭력, 살인 등은 

주로 범죄자가 사회적 약자인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지식인으로써 인정받았던 사람이 실직을 하여 사실상 무직 상태에 놓여있거나,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일용직 노동에 종사하는 경우,

잠재적 우울감을 경험하며 서서히 강박장애 및

충동조절장애 현상으로까지 확산되면서 나타나는 것이죠.

어느샌가 이들은 '쉽게 무시당하는 것 같고

불같이 화를 내야 보상받는 기분'이 든다는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심리적 문제는 주로 우울증(우울장애)을 시작으로 절망감이나 패배감을 느끼게 되어

불안장애, 강박장애, 조절장애 등으로 파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사회적 패배감을 느낀 이들이 현실에 대한 불만을 느끼게 되고,

결국 은둔형 외톨이가 되는 것이죠.

은둔형 외톨이가 되어 주변과의 관계를 단절하거나 최소화한 채 살아가며,

그로 인한 사회적 고립감은 또 다시 부정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됩니다.

따라서 스스로를 자해하거나 타인을 공격하는 행동 등을 보이기도 하죠.

사회에 대한 불만과 불신은 개인의 성장과정에서의 애착관계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더욱 심화되어 나타난다고 합니다.


충동조절장애의 원인 및 종류가 다양한 만큼, 치료 역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주로 심리 상담 전문가와의 심리상담을 통해 인지행동치료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더불어 정신분석 및 체계적 심리치료를 통해

내담자와 함께 솔루션을 찾는 과정을 위주로 진행합니다.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원인과 종류에 따라 경과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하거나 받지 않을 경우, 만성적 심리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며,

증상이 일시적으로 좋아질 수는 있겠으나 다시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충동조절장애 지가진단 TEST

□ 성격이 급하고 쉽게 화를 내며 금방 화를 낸다.
□ 온라인상의 게임, 가상현실 속에서도 내 맘대로 되지 않아 화가 난 적이 여러 번 있다.
□ 분노를 조절하기 어렵고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다.
□ 잘한 일은 칭찬 받아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화가 난다.
□ 다른 사람의 잘못은 꼭 짚고 넘어가야 하며 이로 인해 트러블이 생긴다.
□ 화가 나면 타인에게 폭언, 폭력을 가한다.
□ 분노가 극에 달해 운 적이 있다.
□ 잘못에 대한 책임을 타인에게 돌려 탓한 적이 있다.
□ 화가 나면 물건을 주위에 집어 던진다.
□ 다른 사람이 나를 무시한다고 느끼고 억울한 감정이 자주 든다.
□ 화를 조절하지 못해 일을 망친 적이 있다.
□ 일이 잘 안 풀리면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쉽게 조절하고 포기하는 편이다.


만약 이 중 9개 이상 해당되신다면,
충동조절장애가 의심되오니
빠른 시일내에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http://kimdongchulinstitut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