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향기/미술치료

미술 치료 심리

마티스 Misul 2007. 4. 25. 11:43
 

 미술치료(Art Therapy)

1. 미술치료의 정의

 

  미술치료(Art Therapy)는 예술치료의 한 영역으로 한 개인이 다양한 조형활동을 통해 자신의 무의식을 의식화함으로써 인격의 통합을 이루어 갈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다. 즉 내담자(client)는 그림, 조소, 공예, 디자인 등의 조형활동을 통해 시각화된 이미지를 객관적으로 수용하고 재통합하는 가운데 진정한 자기(Self)를 발견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심리적 문제극복은 물론, 타인을 수용하며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하게 되는 것이다.

                  

 미술치료의 견해

Art in Therapy  (치료에서의 미술)   -   M. Naumburg, 1966

Art as Therapy  (치료로서의 미술)   -   E. Kramer, 1971

Art in Therapy & Art as Therapy (치료와 창조)   -   E. Ulman, 1977


1)Art in Therapy (M. Naumburg, 1966)

치료적 관계형성, 전이와 역전이 해결, 자발적 그림(spontaneous art)과 해석, 자유연상, 그림의 상징성 중시


2)Art as Therapy(E. Kramer, 1971)

내담자의 자기표현과 승화, 파괴적 에너지 분출 및 갈등 재경험, 작품을 만드는 과정 자체가 치료


3)Art as Therapy(E. Kramer, 1971)

a. 예비활동  precursory activities

b. 무질서한 실험 chaotic discharge

c. 방어기제 기능의 미술활동 art in the service of defense

d. 그림문자   pictographs

e. 형성화 된 표현  formed expression


미술치료의 장점

미술은 심상의 표현이다.

내담자의 방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유형의 자료를 즉시 얻을 수 있다.

자료의 영속성이 있어 회상할 수 있다.

미술은 공간성을 지닌다.

미술은 창조성과 신체적 에너지를 유발한다.


1)미술은 심상의 표현이다

심상(image, 心象)  외적 자극과는 관계없이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구체적, 감각적으로 마음 속에 재생되는 상

우리는 심상으로 생각을 한다.   삶의 초기경험이 중요한 심상의 요소가 되며, 성격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

미술치료 장면에서 내담자의 꿈, 환상, 경험 등이 예술매체를 통해 표출됨


2)내담자의 방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초기 인격 이론                                         인격의 구조적 이론

지형학적 가설(Freud, 1923)                 

의식 conscious                                      초자아 superego

-언어 관련, 언어 상담                                           자아 ego

전의식 preconscious                              - reality principle

-비언어 관련,                                                        이차과정사고

-예술을 통한 상담                                               원본능 id

무의식 unconscious                              - pleasure principle 

                                                                일차과정사고


3) 구체적인 유형의 자료를 즉시 얻을 수 있다

4) 미술은 자료의 영속성이 있어 회상할 수 있다

5) 미술은 공간성을 지닌다

6) 미술은 창조성과 신체적 에너지를 유발한다

   (진행, 토론, 감상, 정리 등의 창조적 에너지 발산)


미술치료의 적용

1. 미술치료실 환경

- 물리적 환경과 기본적인 재료

- 미술치료실 : 자유로운 치유적 공간, 안정감!

2. 치료시간의 구성

- 치료목표, 대상,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결정

- 시간 계획 : 기간과 빈도, 매체, 특정 활동, 치료 종료 등 포함

- 첫 상담 (Initial Interview) : 치료비, 시간 계획, 도구의 선택, 그림의 주제 선정 등

3. 미술매체

- 다양한 재료 준비

- 내담자와 매체 선택의 촉진과 통제 고려!

- 내담자와 작품 사이의 물리적 연관성 고려!


첫 면접 (Initial Interview)

1. 주 호소 문제

2. 호소 문제의 역사와 발달

- 발병

- 불편함이 생기게 된 환경

- 발병부터 초기 면접에 오기까지의 경과

3. 통계적 자료

- 이름, 주소, 나이, 전화번호, 결혼 여부, 직업, 경제적 수입, 학력 등

4. 다른 징후와 임상 결과

5. 꿈

- 악몽, 일상적인 꿈, 반복되는 꿈의 기록 등

6. 가족 자료

- 가족 구성, 가족구성원에 관한 생각이나 감정

7. 이전의 정서적 혼란 경험

- 내담자의 장애 정도 및 얼마나 오래된 문제인지 단서 제공

8. 이전의 치료 경험(입원 경험 포함)


미술매체

미술재료(Art Materials)

미술매체(Art Media)

    매체   -   정형매체  -  드로잉 재료

                                 -  페인팅 재료

                                 -  모델링 재료

                                 -  종이 재료

              -    비정형 매체


미술매체의 특성(Landgarten, 1987)

 

신체심리학 역사

Freud

ego를 신체감각에서 기인하는 신체에고라고 주장, 신체적 막힘과 에너지 방출이 심리적 장애 형성의 결정적 요인

Wilhelm Reich(1897)

현재 신체심리치료의 아버지, 오르곤(프라나, 기, 생명에너지) 연구

억압된 정서의 만성적 근육무장 - 만성적 근육수축 - 억제 - 억압

신체 근육무장(armoring) 7부위 - 눈, 입, 목, 가슴, 횡격막, 복부, 골반 

Alexander Lowen & John Pierrakos(1952)

생체에너지학을 바탕으로 신체의 성격 연구, 성격유형 체계화

Stanley Keleman

신체의 진동과정을 세포 수준까지 연구

건강한 세포조직, 건강한 충전(charge), 형성(formation), 방출(discharge)과정 재확립 위해 호흡, 움직임, 소리를 다룸


진단을 위한 미술치료 기법

▶인물화 검사(DAP)                     ▶빗 속의 사람 그림 검사

▶자화상 검사                             ▶동물 그림 검사

▶나무 그리기법                          ▶집-나무-사람 검사(HTP)

▶동적 집-나무-사람 검사(KHTP)  ▶가족화와 동적가족화(DAF & KFD)

▶학교생활화(KSD)                      ▶난화그리기법

▶난화게임법                              ▶풍경구성법(LMT)

▶자유화법                                ▶과제화법

▶상상화 그리기                         ▶협동화법


치료를 위한 미술치료 기법

▶테두리법                                 ▶Starter sheet

▶난화이야기법                           ▶꼴라쥬 기법

▶역할교환법                              ▶색채선택법

▶갈겨 그리기법                          ▶그림완성법

▶자아감각 발달법                       ▶감정차트 만들기

▶생활선 그리기                          ▶과거, 현재, 미래 나타내기

▶나, 어머니, 아버지 그리기          ▶가계도 그리기

▶만다라 그리기                          ▶집단 만다라 벽화

▶핑거페인팅                              ▶조소활동법


미술치료의 개념적 모형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G. Freud)

▶분석적 미술치료 (C. G. Jung)

▶현상학적 미술치료

▶게슈탈트 미술치료

▶인간중심 미술치료

▶행동주의적, 인지적, 발달적 미술치료




2. 색의 3요소

 

 색상(Hue) 색의 차이

 명도(Value) 색의 밝고 어두움, 11단계

 채도(Chroma) 색의 선명함, 14단계


색의 이해

Color is life, life is very powerful.

Color is energy. You will find yourself drawn to one color more than others. The energy vibration of that color is what you need, at this moment, in other to improve and valance your emotional state.

 요하네스 이텐(Johannes Itten)은 색체의 예술에서 ‘색은 우리의 의식과는 상관없이 긍정적 혹은 부정적 방식으로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이다.’라는 견해를 피력한다. 즉 색은 긍정적 방식이든 부정적 방식이든 항상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에너지로써, 그 형상은 자연에서 강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자연의 색 경험은 그 색이나 전이된 의미들로 우리에게 오랫동안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색 선택은 무의식에 의해 조정되기도 하며, 특정 색의 유형 등은 인간의 보다 깊은 욕구와 발전을 암시한다.

 융(Jung)의 심층심리학적 관점에서는 특정한 색의 이면에 내재해 있는 원형(Archetype)과 그에 상응하는 감정을 시사하였는데, 우리가 원하는 색과 관련된 행위들은 우리로 하여금 원형에 귀속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말한다. 이처럼 색의 원형들은 집단적으로나 개인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특정의 사물이나 정서에 개입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색은 개인이나 사회의 정서를 이해하는 열쇠이고, 근원을 이름 짓게 하는 열쇠가 된다(정여주, 2004).


색 경험 피라미드(프랑크 H. 만케, 1990)

개인적 관계 (신체-감정-정신-영혼)

시대사조

패션, 스타일의 영향

문화적 영향과 매너리즘

의식적 상징화  연상

집단무의식

색 자극에 대한 생물학적 반응


색의 7가지 특성

․신체적, 물질적 요소

․심리적 요소

․조화로운 연합(결합)적 요소

․에너지를 촉진하는 요소

․치유적 요소

․직관적, 자극적인(격려적인) 요소

․높은 의식 수준의 영적 요소


색과 신체, 정신, 영혼

․인체의 전자기장 오오라(aura)

․최적의 건강 상태 -  신체(Body), 정신(mind),영혼(spirit)의 조화

․개인의 영적 인식에 따른 다양성

․무지개 색의 경우 건강 상태

․에테르체(The Etheric Body) - 기가 (prana) 우주에서 육체로 이동

․아스트랄체(감정체,  The Astral Body) - 감정상태에 따라 다양한 에너지 상태

․정신체 (The Mental Body)  정신적 사고 에너지, 꿈, 명상, 의식적 생각과 관련, 에테르체와 아스트랄체에 영향


색, 차크라와 신체기관

7. 머리(정수리)  - 보라색      Spiritual Understanding / 영성

6. 뇌하수체, 송과선 - 남색       Perception / 직관, 상상력

5. 갑상선, 폐 위쪽(목, 후두) - 파란색  Philosophy, expression / 언어

4. 흉선, 폐 아래쪽, 가슴(심장) - 녹색              Sharing, Harmony, Balance / 사랑

3. 췌장, 위, 간 부분 - 노랑색          Elimination / 지능, 활동

2. 생식선, 신장, 대소장 - 주황색 Assimilation / 에너지, 성

1. 항문과 성기(미골) - 빨간색  Creative energy / 생명, 생존


차크라와 감정작용

정수리 차크라 - 예술적 영감/ 고독감, 절망감

영안 차크라 - 내면의 눈, 자존심/ 목표, 통제력 상실

인후부 차크라 - 자기표현/ 행동 억제 및 과잉행동

심장부 차크라 - 사랑, 애정, 관계 중심/ 사랑의 결여

명치부 차크라 - 지성, 논리, 학업/ 정신적 문제 가능성

천골신경 차크라 - 생산성, 안정성, 성욕 통제/ 불감증

뿌리 차크라 - 자기보호/ 공격적 성향


색과 성격, 심리

E. Schachtel & M. R. Ovsiankina 연구

색채감정과 자아(ego)의 관계 설명 개인의 색채 반응 - 자아의 발달 정도, Id 지배 세기

M. R. Ovsiankina 연구 

색채 정서적 반응 - 개인의 감정지배 및 사회지향과의 정도를 반영, 즉 외적 환경에 용이하게 반응하는 사람은 색채지향성이 강하고, 자기내적 욕구나 감정에 용이하게 반응하는 사람은 색채지향성이 약함

K. Warner Schaie 연구 

색채에 대한 반응양식

- 분화형 : 여러 색을 좋아하며 특정 색 선호, 자아의 정상적 균형

- 한정형 : 한두 가지 색 선호, 초자아의 지나친 발달, 유연성 결여

- 확산형 : 많은 색 선호, 충동적, 단편적으로 본능에 따르는 경향


빨강 Red

․연상 - 불, 피(혈), 태양, 사과 등

․아드레날인 분비, 혈액순환 촉진, 헤모글로빈 생성

․생명체에 활력과 에너지 자극, 활동성 촉진

․긍정의 의미 - 정열, 생명력, 활력, 자기신뢰, 힘, 권위, 강한 의지, 욕구, 긍지

․부정의 의미 - 분노, 노여움, 미움, 공격성, 자기 연민, 자기 만족, 급한 성격

․사람 - 활동적이고 강하고 정열적인 사람


주황색 Orange

․연상  등불, 오렌지, 단풍, 당근 등

․생식선, 신장 및 대소장 관여

․소화 및 동화작용 촉진

․긍정의 의미  건강, 활력, 창의력, 기쁨, 자신감, 에너지, 낙천주의, 건설적, 독립

․부정의 의미  오만함, 권세욕, 자기과시, 거식증(폭식증), 알코올 오용

․사람 - 매사에 열의를 보여주는 용기 있는 사람


노란색 Yellow

․연상  빛, 태양, 병아리, 레몬, 금 등

․신경계, 심장과 근육 강화로 순환작용 촉진

․배설작용 원활, 신장과 간의 자극에 도움

․긍정의 의미 : 지적인 능력 및 자기표현, 논리, 명쾌한 사고, 행복함, 즐거움

․부정의 의미 : 불안, 경박, 미숙, 질투, 염세적, 회의적, 신경과민, 편견 

․사람 - 통솔력 있고 리더십 강한 지성적인 사람


녹색 Green

․연상 - 자연, 풀, 나무, 잎, 숲, 시금치 등

․심장, 폐의 기능에 직접적 연관

․긴장 완화 및 혈압 낮춤, 감정의 진정에 효과

․긍정의 의미 - 자연, 조화, 균형, 타인과의 공감, 성장, 희망, 생명, 재생, 관대함

․부정의 의미 - 부패나 죽음 상징, 욕심, 권력, 분별력 없음, 게으름, 권태

․사람 - 조화롭고 안정적 삶,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


파란색 Blue

․연상  바다, 하늘, 호수, 강, 물, 비 등

․목 부위, 의사소통에 관여

․혈액순환 낮추고 맥박을 느리게 함

․긍정의 의미  이완, 평화, 자유, 조용함, 직관력, 성실, 명상, 이지, 청정, 고요, 진실

․부정의 의미  우울, 권태, 무기력, 냉담함, 복종, 순종

․사람 - 평화로운 삶을 원하는 정직, 성실한 사람


남색 Indigo

․연상 - 밤하늘 등

․좌뇌 및 우뇌의 활동에 관여, 직관력

․긍정의 의미 - 직관력, 헌신, 고상, 숭고, 신비함, 삶의 고통의 시기과 새로운 시작

․부정의 의미 - 고립감, 우울감


보라색 Violet

․연상 - 포도, 창포, 난초, 가지 등

․뇌하수체 기능 연결, 호르몬 활동 정상화

․긍정의 의미 - 영적 감정, 의식 자극, 정신적 성숙, 창의성, 열정, 신비주의, 영성, 초자아, 이상주의자

․부정의 의미 - 예민함, 성격 불균형, 신경계 질환

․사람 - 자의식이 높고 창의적 분야에 종사하는 품위 있는 사람


분홍색 - 사랑의 욕구가 높은 사람, 여성

마젠타색 - 감각적이며, 사랑과 연민의 감정을 쉽게 표현하는 사람

갈색 - 가족, 친구들 소중히 하는 안정적인 사람, 낮은 자존감을 가진 사람

․흰색 - 자기 방어적인 사람, 공평무사한 사람

․검정색 - 의젓하며 전통을 중시하는 사람, 속마음을 잘 드러내지 않는 사람

․회색 - 자신에 대한 믿음과 독립심이 강한 사람, 자기비판적 경향이 있는 사람, 느낌의 단절과 총체적 인격의 가능성



3. 인물화 (Draw a person:DAP)

 

 발전

Goodenough(1926) - '인물화에 의한 지능 측정'

Machover(1949) - 인물화를 성격 진단 도구로 활용 

Levey(1952), Jolles(1952) - 투사적 의의, 인물화 분석적 틀 마련


 검사실시

  준비물 - 도화지(세로28cm, 가로21cm), 4B연필, 지우개

  검사 -  "사람을 그리세요. 단 사람을 그릴 때 막대 인물상이나

              만화처럼 그리지 말고 사람을 전체를 그리세요."

             "그 사람과 반대되는 성을 그리세요."

             "그는 어떤 사람입니까?", "나에게 이 그림의 사람이

              어떤지 당신이 연상하는 것을 말해줄 수 있습니까?"


인물화 분석

의식적 자기상(자기개념, 자기표상, 자기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나 여러 가지 감정들이 투사) 및 의미 있는 타인 반영

▶크기 -  피검자의 자존심과 활동성

▶추상적, 만화적 인물상, 회피 - 자기방어적 태도와 경계심, 적의

▶비현실적 인물 및 유명인 등의 타인 묘사 - 대인관계 적대감, 낮은 자존감, 자기정체성 표출의 두려움  및 충동적 행동 가능성

▶주제 - 피검자의 연령, 동일 환경에서 거주하는 인물

머리 - 지능, 공상, 자기통제, 대인관계 관심 상징

얼굴 - 외계의 현실세계와 어떻게 접촉하는가 상징

- "마음의 창", "세상을 향한 창문"

         환경과 접촉하는 가장 중요한 기관, 현실검증력 진단

▶눈썹 - 자기상, 자기애착

- 남근 상징, 환경으로부터 정서적 자극을 받아들이는 태도 반영

- 외계의 비판이나 타인의 의견에 대한 과민성, 환청 및 난청 관련

- 음식 관련 상징(생존 및 심리적인 충족 관련) , 성적 상징

         의사소통 상징(말에 의한 타인 접촉의 수동성, 적극성, 공격성)

▶턱 - 경험적 자기 주장성, 힘과 결단력

▶머리카락 - 여성다움과 여성적인 충동 상징

- 머리(지적영역)와 몸(정서영역)의 연결, 충동 통제 관련

▶어깨 - 체력과 체격, 남성적인 힘과 자기현시 욕구 상징

            상징적으로 책임(responsibility)을 지는 능력 관련  

몸통 - 자신의 신체 이미지 및 신체적 에너지 상징

▶가슴(유방) - 가슴은 자기인지 및 자기대상인지에 따라 다양한 해석            

                    유방은 성적 관심, 애정 욕구 및 의존 욕구 상징

▶허리 - 성적 통제감 관련, 남성 신체적 힘과 성적 기능의 접합점 상징   

             여성 양육 기능과 생식 기능을 구별하는 경계 상징

▶엉덩이, 가랑이, 성기 - 성적 의미 및 성적 능력, 성적 통제감 상징

▶관절 - 자신의 신체통합의 불확실감, 의존 경향 및 강박 경향 관련

- 신체적 상태 및 유형, 환경과의 직접적 접촉 반영 

         환경 상호작용 정도, 자신의 욕구 충족 정도 및 현실 대처 능력

- 외계의 사물을 다루는 능력, 구체적 환경 통제 능력

다리 - 현실상황에서 성격의 안정성, 심리적 상태 및 특성, 성적 태도

- 현실 속 자기 욕구 충족의 원천

         의존성 및 독립성의 연속성 상에서 자율성 반영, 공격성 관련

▶신발 - 여성다움 관련, 여성의 성기 상징

의복 - 피검자의 사회적인 역할 및 본질, 성격 상징

▶단추 - 배꼽이나 유두 상징, 의존 욕구 및 애정 욕구 상징

▶주머니 - 의존 욕구 및 애정 욕구 상징

▶넥타이 - 남성적인 것 의미, 남근 상징

▶모자 - 남성적인 것, 외계에 대한 깊은 의심 및 경계심, 회의심 상징

▶소지품과 액세서리 - 남성성 및 여성성 상징, 상징적 해석

나이 - 자기 대상의 성숙도 반영 (-5년~+5 미만:적절 수준)     

            막연하게 많은 나이는 우울감, 유능감 저하 관련

자세 - 중앙은 공격성, 독선적 공격성, 불안정감의 반작용

            인물하선은 불안감과 회의적, 도피적 태도 관련

            기대는 자세는 지지와 원조를 구하는 욕구 관련



4. 동적가족화 (Kinetic Family Drawing : KFD)

 

발전

Burns & Kaufman(1970, 1972)

가족화(Draw A Family)에 움직임을 첨가 발전

 동물가족화, 풍선가족화, 가족상징화 등으로 적용

 학교생활화(KSD), 친구화, 직장화, 정치생활화 등으로 응용


이론적 배경

  정신분석학

   Lewin의 장이론 (field Theory, 1951)

        B=f(P*E)=f(LSp)

   지각의 선택성(selectivity of perception)


검사실시

    도구   A4용지 한 장, 연필(HB, 4B), 지우개

    시간  30~40분 소요

    지시

      " 당신을 포함해서 당신의 가족 모두에 대해서, 무엇인가

        하고 있는 그림을 그려 보세요. 만화나 막대기 같은 사람이

        아니고 완전한 사람을 그려 주십시오. 무엇이든지 어떠한

        행위를 하고 있는 그림을 그려야 합니다. 당신 자신도 그리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그림 완성 후 절차

        인물상을 그린 순서, 인물상은 누구인가, 연령, 행위,

        생략된 사람이 있는가, 첨가된 사람이 있는가 확인 


해석

 인물상의 행위 (actions)

     상호작용적 측면 / 행위로 본 가족 내 역할유형

양식 (styles)

      일반적 양식 / 구분 / 포위 / 가장자리

      인물하선 / 상부의 선 / 하부의 선

상징 (symbols)

      공격성, 경쟁심 / 애정적, 온화, 희망

      분노, 거부, 적개심 / 힘의 과시 / 우울, 억울함 등

역동성 (dynamics)

      인물묘사의 순위 / 인물상의 위치 / 인물상의 크기

      인물상 간의 거리 / 인물상의 방향 / 인물상의 생략 / 타인 묘사

인물상의 특징 (figure characteristics)

      음영, 갈기기 / 윤곽선의 형태 / 신체부분과장 / 신체부분생략

      얼굴 표정 / 의복의 장식 / 회전된 인물상 / 정교한 묘사 / 필압 




5.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 (House Tree Person:HTP)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 (Kinetic House Tree Person:KHTP)

 

발전

Buck(1948)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을 바탕으로 HTP개발

                        1. 친밀감  2.모든 연령 피검사 수용 3. 언어 자극

Buck & Hammer(1969) - HTP를 발달적, 투사적 측면에서 연구

Jolles(1964) - 집, 나무, 사람 그림에 대한 특성 기술

Burns(1971) - 상호작용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HTP에 역동성을 부여한 KHTP기법 발전

HTP 실시

준비물 - 흰 도화지 4장(세로28cm, 가로21cm), 4B연필, 지우개

실시 1. 도화지 한 장을 가로로 제시  "집을 그리세요."

       2. 도화지 한 장을 세로로 제시 "나무를 그리세요."

       3. 도화지 한 장을 세로로 제시 "사람을 그리세요.

           단 사람을 그릴 때 막대 인물상이나 만화처럼 그리지 말고 사람 전체를 그리세요."

       4. 도화지 세로로 제시 "그 사람과 반대되는 성을 그리세요."

       5. 피험자가 다 그린 후 그림 그린 후 질문(PDI)


KHTP 실시

준비물 - 흰 도화지(세로28cm, 가로21cm), 4B연필, 지우개

실시 -  도화지를 가로로 제시 "여기에 집, 나무, 그리고 어떤 행동을 하는 사람의 전체 모습을 그리세요. 사람의 전체 모습을 그릴 때 만화 혹은 막대 인물상으로 그리지 마세요."


그림그린 후 질문(Post Drawing Inquiry:PDI)

 

집 그림

1. 누구의 집인가?                     

2. 누가 살고 있는가?

3. 이 집의 분위기는 어떠한가?    

4.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5. 나중에 집이 어떻게 될 것 같은가?

 

나무 그림

1. 이 나무는 어떤 종류의 나무인가? 

2. 나무의 나이는 몇 살인가?

3. 나무가 죽었는가 살았는가?        

4. 나무의 건강은 어떠한가?

5. 나무 주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6. 나무의 소원은 무엇인가?

7. 나중에 이 나무는 어떻게 될 것인가?

8. 나무를 그리면서 생각나는 사람이 누구인가?

사람 그림

1. 이 사람은 누구인가? 

2. 이 사람은 몇 살인가?

3. 이 사람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        

4. 이 사람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가?

5. 이 사람의 기분은 어떠한가?

6. 이 사람의 소원이 있다면 무엇일까?

7. 나중에 이 사람은 어떻게 될 것인가?

        

HTP와 KHTP 분석

  전체적 인상 (인상주의적 해석)

      그림의 조화, 구조, 특이한 점에 대한 검토

      피검자의 적응수준, 성숙도, 신체의 혼란, 외계에 대한 인지방법 검토

      피검자의 그림 그리는 과정에 대한 공감

       자기심리학적 관점

 

형식적 분석(구조적 해석)

       기타 임상 자료를 확인

       각각의 그림 객관적 요소를 고려하는 해석 방법

       일대일 해석의 제한


         내용 분석

      집, 나무, 사람 그림에 대한 내용 및 형식적 sign에 관한 분석


형식적 분석

1. 검사시의 태도와 소요시간 - 행동 및 그림 해석에 대한 단서 제공

2. 순서 - 중요성 관련

3. 크기 - 자존심, 자기확대의 욕구, 공상적인 자아에 대한 단서 제공

4. 위치 - 공간 구성 심리 관련

5. 필압과 선의 농담 - 에너지 수준

6. 스트로크 - 선의 질에 따른 피검자의 성격 및 심리적 태도 관련

7. 지우기 - 가소성 및 순응성. 지나친 사용 시 불안 및 낮은 자존감 관련

8. 대칭성 - 결여 시 불안정감 및 신체의 부적응감 관련

9. 방향 - 환경에 대한 태도 및 감정, 대인관계의 평가와 처리법 관련

10. 세부묘사 - 일상생활에서 실제적인 면을 의식하고 처리하는 능력 관련

11. 생략과 왜곡 - 생략과 왜곡된 부분의 갈등 시사

12. 절단 - 전단된 면으로 향한 강한 욕구 및 반대 면에 대한 강한 거부 

13. 그림자와 음영 - 의식 수준의 불안 및 갈등 시사

14. 투시성 - 정서적, 기질적 원인에 의한 성격 통합 상실 및 현실검증장애

15. 원근법 - 환경에 대한 개입 태도 관련

16. 운동 - 성격의 가소성, 활동성

17. 지면의 선 - 불안 관련

 

집 그림 내용분석

성장하여 온 가정상황, 자신의 가정생활과 가족관계에 대한 인지 및

감정과  태도, 현재의 가정 및 이상적 가정에 대한 소망, 물리적 기반 관련


1.지붕 - 정신생활 및 생활의 공상영역, 자기 자신의 생각, 관념, 기억 등

            내적 인지과정과 관련

2. 벽 - 자아 강도 및 자아 통제력

3. 문 - 환경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의 부분으로 대인관계에 대한 태도 관련

4. 창문 - 환경과의 간접적인(수동적인) 접촉 상징

             부재 시 환경에 대한 관심 결여 및 적의, 폐쇄적인 사고, 편집증적 경향

5. 방 - 방의 특수성, 방에 거처하는 사람, 방에 대한 경험 등의 특수기능과 관련

6. 굴뚝과 연기 - 인간관계의 따뜻함, 애정욕구 관련. 남성 성기 관련. 창의성 관련

7. 울타리와 처마 - 자기방어 및 안정감에 대한 욕구. 처마는 경계심 및 시기심 관련

8. 나무와 잔디 - 생동감 및 에너지. 지나친 묘사의 경우 불안 관련

9. 계단과 길 - 사회적 상호관계에 대한 환영


나무 내용분석

무의식적 자기상, 자신의 마음상태에 대한 태도 및 느낌

            정신적 성숙도, 인생의 열망, 정신과 자기확장의 은유

1. 주제 - 상록수 및 낙엽수 등의 나무의 특징적 주제와 관련된 자기상 반영

2. 줄기 - 성장 및 발달 에너지, 창조적 생명력, 리비도(Libido), 생활에 대한 감정

3. 수피 - 외계 및 타인에 대한 긴장감 및 태도 관련

3. 가지 - 환경 및 타인에 대한 직접적인 교섭, 피험자의 능력 및 가능성, 적응성

4. 수관 - 수관의 크기는 자신감과 야망, 정열적 태도에 대한 반영

5. 열매 - 아동은 강한 의존 욕구 관련, 성인은 미성숙성 및 과시적인 태도와 관련  

6. 잎과 꽃 - 외견의 장식 및 활력과 관련, 꽃의 경우 외현적 체면 중시 자기애 관련

7. 뿌리 - 현실지배능력에 대한 인지, 과거에 대한 관심, 미성숙 등과 관련

8. 나이 - 심리적, 정서적, 성격적 성숙의 지표, 무의식적 퇴행 및 동경의 시기

9. 상흔 및 옹이구멍 - 의식적, 무의식적 외상 경험 및 시기와 관련

자료 출처 : 조성심사회복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