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센터 김동철 심리케어/김동철 심리케어

[심리상담] 우리아이의 반항, 품행장애일까?

마티스 Misul 2018. 1. 4. 17:34

안녕하세요, 김동철 심리케어입니다!
새 해가 되면서 부모님들의 우리 아이 걱정도
함께 하고 계실거란 생각이 드는데요,
오늘은 품행장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이들은 누구나 사춘기가 되면 반항적 행동을 하며
친구들과 싸우는 등의 비행행동을 보입니다
그러나 품행장애는 사춘기 증세와는 구별되게 나타납니다


품행장애 (Conduct Disorder)반사회적, 공격적,
폭력적 성향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행동으로 정의합니다

아동의 경우 파괴적 행태를 띄는 경우가 많으며
쉽게 화를 내고 거친 행동을 하는데요,
특히 사회규범에 어긋나는 행위를 지속한다거나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범하는 등의 행동이 지속적으로 나타납니다

단순히 사춘기 증세와 비슷하다 하여
아이의 기질성향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넘어가기 쉽기 때문에
아이를 잘 관찰 해보시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품행장애는 대표적으로 
공격적 행동비공격적 행동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공격적 행동으로는 폭력 행사, 금품갈취 등이 해당되며
비공격적 행동으로는 거짓말, 절도, 규칙위반, 무단침입방화 등
사회규범에 어긋나는 일들이 해당합니다

이러한 증상을 호소하는 대다수의 아동들은
주로 지능지수는 정상으로 나타나지만
사고나 언어적 사고에 약한 모습을 보이며
학업성취도가 낮은 편에 속합니다
따라서 자신이 남들보다 뒤쳐져 있다는 느낌을
지속적으로 받음으로써 자존감 저하, 무력감 등을 느낍니다



모든 심리적 문제는 갑작스레 발생하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거짓말, 무단결석으로 시작된 문제 행동이
도둑질, 기물 파괴 등으로 이어지고
나중에는 신체적 잔혹함, 무기 사용 등을 일삼게 됩니다

이러한 품행장애가 주로 나타나는 시기는
남아의 경우 10~12세
여아의 경우 12~14세 사이이며
발병비율은 여아보다는 남아가 높은 편입니다
어린 나이에 증세가 나타날수록 또래와의 관계나
학업에 곤란을 겪을 확률도 함께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발병원인으로는 환경적 요인, 경험적 요인, 생물학적 요인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며
특히 부모의 심한 학대, 폭언, 지나친 아이 방치 등
아이가 자라는 양육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

또한 ADHD(주의력 결핍 장애)를 앓고 있는 아동의
35~50%가 품행장애 증세를 동반한다고 합니다

우리 아이, 의사소통 기술이 부족하고
타인이나 환경에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지는 않나요?
체크리스트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품행장애 CHECK LIST

□ 다른 사람을 괴롭히고, 협박하고, 위협한다
□ 싸움을 자주한다
□ 싸울 때 몽둥이나 돌, 칼 같은 무기를 사용한 적이 있다
□ 타인을 배려할 줄 모른다
□ 동물에게 잔인한 행동을 한다
□ 친구들의 돈을 강제로 빼앗은 적이 있다
□ 부모나 선생님에게 대들고, 그들의 지시와 기대에 따르는 것을 거부한다
□ 누군가에게 피해를 주려고 불을 지른 적이 있다
□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의 기물을 파괴한다
□ 다른 사람의 집이나 건물, 차에 침입한 적이 있다
□ 거짓말을 잘한다. 원하는 것이나 도움을 얻으려고, 또는 의무를 피하려고 거짓말을 한다
□ 가게 또는 친구들의 물건을 훔친 적이 있다
□ 밤늦게까지 집에 들어오지 않은 적이 있다
□ 가출을 한 적이 있다
□ 학교에 무단결석을 한 적이 있다. 조퇴를 자주 하거나, 무단 외출을 한다
□ 잘못된 행위에 대한 죄책감이 거의 없다

지난 1년간 위 행동 가운데 3개 이상이 해당한다면
빠른 시일 내에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충동적이며 자기조절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아이가 안정적인 환경에서 지낼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공격적인 행동이나 말을 하지 않았을 때
긍정적인 피드백과 함께 보상을 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가족 간 갈등을 줄여주는 가족상담치료도 좋습니다

또한 어떤 심리적 증상도 모두 마찬가지겠지만
증상이 나타났을 때 바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전문가와의 상담치료화목한 가정환경
치료의 필수 요소가 되겠죠?






김동철 심리케어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 온라인 상담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상담으로 가볍게 궁금증을 
해소 해보는건 어떨까요?

구 홈페이지와 신 홈페이지 주소 입니다 

http://www.kimdongchulinstitute.kr/bbs/board.php?bo_table=sub2_1

http://www.kimdongchulinstitute.wdw.kr/bbs/board.php?bo_table=board1&page=1&sst=wr_num%2Cwr_reply&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