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센터 김동철 심리케어/김동철 심리케어

[심리상담] 트라우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마티스 Misul 2017. 12. 29. 14:58

안녕하세요, 김동철 심리케어 입니다!

2017년 한 해 크고 작은 사건 속에서
그 중 특히 소중한 사람들을 잃는
가슴 아픈 사건들이 유독 많았던 것 같습니다

아끼고 사랑하는 소중한 사람을
갑작스레 떠나 보낸다는 것은
남겨진 사람들에게 큰 상처와 아픔으로 남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다시 말해
트라우마로 남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트라우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한 후 나타나는 심리적 반응으로
사건이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사건을 떠올리며
두려움을 느끼는 심리적 증상을 의미합니다

흔히 트라우마라고 불리우는 이 질환은
대부분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특정 사건 후 생긴 스트레스를
초기에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발전합니다




외상으로 인한 상처를 제대로 치료하지 못하면
그 자리에 흉터가 자리잡듯
트라우마 역시 그와 같은 원리로 발생되는데요

발생원인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전쟁, 테러, 자연재해, 교통사고 등
생명에 위협을 느낀 경우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아동기 성적 혹은 신체적 학대를 겪은 경우 역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경험할 확률이 높습니다



특히 최근 사건들 중 갑작스레 가족을 잃은
안타까운 사건들의 경우 역시
남아있는 유족들이 느끼게 되는 심리적 불안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한 종류인
외상 후 애도 증후군으로 불립니다


외상 후 애도 증후군가족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유가족들이 느끼는 극심한 스트레스 및 슬픔을 의미합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주된 증상


1) 사건을 재경험하는 침습증상

위협적 사고를 반복적으로 일상생활 중 혹은 꿈을 통해 재경험하거나

당시 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단서에 대해 예민한 반응을 보입니다


2) 회피증상

외상을 일으킨 사건이나 사고에 관련된 대화, 생각

혹은 관련 장소나 사람등을 피하려고 하는 행동을 보입니다


3) 부정적 인식, 부정적 감정변화

외상의 주된 원인에 대해 회상할 수 없으며

자신, 주변, 타인에 대해 부정적 인지를 함으로써

지속적인 공포나 불안, 분노를 느껴 부정적 감정을 느낍니다


4) 지나친 각성증세

신경이 날카로워져 집중이나 수면이 어려워지고

별 것 아닌 일에 쉽게 놀라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사건 발생 한 달 후 혹은 1년 후 등

발생 시점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사건 후 발생한 급성 스트레스 증후군이 제대로 해결되지 못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발전될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는 인지행동치료가 있습니다
인지행동치료는 상담치료의 기법이며
경험한 정신적 외상 분석을 통해
극복방법을 함께 알아갈 수 있습니다


AIA 생명과 김동철 박사님께서

인사조차 하지 못하고 가족을 떠나보낸 분들의

눈물을 닦아주고 마지막 인사를 할 수 있도록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경험하는 인원은

2013년 기준 6,741명에서

2015년 기준 7,240명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이런 아픔을 경험하는 많은 분들이

빨리 그 상처를 극복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김동철 심리케어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 온라인 상담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상담으로 가볍게 굼금증을

해소 해보는건 어떨까요?





몸이 아플 때 의사에게 치료 받듯이

마음도 고통스러울 때는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마음도 몸처럼 치유된다는 믿음으로

자신의 삶을 포기하지 말아야 합니다

- <나는 당신의 행복한 스타입이다> 프롤로그 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