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센터 김동철 심리케어/김동철 심리케어

[아동상담] 현명한 부모의 길잡이 : 우리 아이가 말을 듣지 않아요!

마티스 Misul 2017. 4. 7. 14:12




현명한 부모의 길잡이

: 우리 아이가 말을 듣지 않아요!



지난번 '우리 아이와의 대화에 무엇이 문제가 있는지' 포스팅 했었죠!

육아를 하면서 부모의 양육 방식이
아이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 같아요
양육 방식에 따라서 아이들의 성격적인 부분이나
도덕성, 사회성 등이 발달하니까요.
물론 아이마다의 기질 성향의 차이도 있겠지만 말이에요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성격적 문제가 두드러지거나
대화가 잘 되지 않는다면 문제의 원인이 보통
양육의 방식
에서 나타난다고 합니다.

혹시 내 양육에 문제가 있던 건 아닌가 다같이 체크해볼까요?





아이가 말을 잘 듣지 않고 반항의 태도를 보인다면,
아이가 왜 그런 태도를 보이는지에 대한 원인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다양한 원인들이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아이의 입장에서
부모가 자신의 자율성을 보장해주지 않고
간섭한다고 느낀다면 아이는 반항적인 태도를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대개 부모들은 자신이 어떠한 태도로 자식들을 대하는지
객관적으로 보기 힘들어 합니다.
아이와의 소통이 힘들다면 우선적으로 자신을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내가 어느 부분에서 화가나고 어떤 상황에서 아이에게
화를 내는지 등에 대해서 노트에 적어보고 다시 한 번 읽어보시는 것이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자신의 양육 방법과 태도는 일반적으로 내가 부모님께 받았었던
양육방식과 비슷해지는데요, 이를 '양육의 대물림'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내 아이에게도 내가 받았던 양육을
똑같이 대물림해서 적용한다는 것이지요.
양육에 대한 경험은 보통 내가 받았던 경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아이에게 왜 이런 양육 방법을 택했는지,
양육의 대물림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
이유를 알고 깨닫고 나면 양육에 대한 행동 변화를 느끼실 수 있습니다.



아이와의 소통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부모들을 5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해요.
그 유형과 유형별로 어떻게 어려움을 대처해나가야 할지 알아볼까요?

1. 둔감형
(아이 감정에 둔감한 부모)
: 지속적으로 아이의 기분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을 반복해야 합니다.

2. 잔소리형
(잔소리 참기를 어려워하는 부모)
: 부모님이 믿어주는 만큼 아이는 성장한다는 것에 대해서
인지하고 잊지 말아야 합니다.

3. 언어 비표현형
(말로 표현을 잘 못하는 부모)
:  아이에게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말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인지가 필요합니다.

4. 권위형
(자신의 말을 어기는 것을 못 견뎌하는 부모)
: 아이가 아직 미성숙 하지만 한 명의 인격체로 봐주는 시선이 필요합니다.

5. 하소연형
(자식에게 하소연을 일삼는 부모)
: 부모의 하소연을 듣는 아이들이 고스란히 떠안게 될 갈등과
부담감에 대해 이해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최근 사회적인 분위기가 많이 바뀌게 되고 아빠의 양육의 중요성
대두되면서 더이상 양육은 엄마 만의 몫이 아닙니다.
또한 엄한 아빠의 자녀 교육이 아이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프랜대디라는 말까지 생겨나 아이 양육에

아빠의 역할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엄하기만한 아빠를 보면서 아이가 '남자'에 대한
잘못된 성 이미지를 가지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남자 아이는 권위성을, 여자 아이는 부정성을 가지게 될 수 있습니다.

우리 아빠들도 아이들에게 프랜대디라는 말 처럼
자상한 아빠가 되어주는 것이 어떨까요?





현재 김동철 심리케어에서는
다양한 심리검사와 상담을 받아보실 수 있으며,
초기상담에 한해 개인상담
30%할인,
가족 및 부부상담
20%할인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김동철 심리케어 방문상담을 원하실 경우,
카카오톡 옐로우 아이디 예약 시
초기상담 50%할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김동철 심리케어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 온라인 상담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상담으로 가볍게 궁금증을 해소 해보는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