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센터 김동철 심리케어/김동철 심리케어

[심리검사] 내 마음의 근력, 회복탄력성

마티스 Misul 2017. 1. 31. 13:53

"

내 마음의 근력,

회복탄력성

"



오늘은 회복탄력성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회복탄력성이라고 들어보셨나요?


회복탄력성이란 영어로 'resilience'이며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에서 처음 나온 개념으로, 인간이 수많은 삶의 도전에 직면했을때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내면적 근성을 바탕으로 하는 인간의 능력을 뜻합니다.

즉, 크고 작은 다양한 역경과 시련, 실패를 오히려 발판으로 삼아 더 높이 튀어오르는 우리 마음의 근력이라고도 표현하지요.


각각의 물체마다 탄성이 다르듯이 사람에 따라 회복탄력성이 다릅니다. 
강한 회복탄력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경우 역경으로 인해 밑바닥까지 떨어졌다가도 강한 회복탄력성으로 되튀어 올라
원래 있었던 위치보다 더 높은 곳까지 올라갑니다.
지속적인 발전과  커다란 성과를 이뤄낸 개인이나 조직은 실패나 역경을 딛고 일어서서 그 성취를 이루어냈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합니다. 

회복탄력성이 높을 수록 우울증에 쉽게 빠지지 않고 이겨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1
관계 맺기
 
가족이나 친구, 연인과의 인간관계는 고난이나 시련이 닥쳤을 때

함께 극복하며,
역경을 헤쳐나가는 능력을 향상시켜
심리적 안정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매일의 일상 속에서 의미 찾기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인생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 입니다. 
아침에 30분 일찍일어나기, 하루에 물 7컵이상 마시기 등등 
작은 일이라도 의미가 있거나 미래지향적인 목표를 설정매일 되뇌며 실천해보는 것입니다.
꾸준히 노력하고, 도전한다면 어느새 의미 있는 삶을 사는
를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경험에서 배우기

 
고난이 닥쳤을 때,
과거에 어떻게 대처했었는지 생각하면서 힘든 시간을 이겨냈던 과거의 경험을 떠올리며, 역경을 이겨 내는 자신만의 노하우를 만들어보는 것 입니다. 일기를 써보는 것도 전에 있었던 경험에서 나는 어떻게 대처했었나 돌아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4
희망 가지기

 
이미 지나가 버린 과거는 되돌릴 수 없지만
다가올 미래는 스스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과거의 상황을 흔쾌히 받아들이고 다가올 미래에 자신감을 가진다면, 현재의 문제가 되는 상황에 적응하기가 한결 쉽고 새롭게 도전하는

용기를 낼 수 있을 것입니다.
    
5
자신 보살피기

 
누가 뭐래도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존재는 ‘나입니.
육체적정신적 피로가 누적이 될수록 우리의 내면적 회복력을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내가 잠은 잘 자고 있는지, 스트레스가 얼마나 쌓였는지 점검해보는 시간을 가지고 그것들을 나만의 방법으로 해소시켜준다면

회복력을 높일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 됩니다.

6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문제가 발생했을 때 회피하지 말고 어떻게 대처할지 계획을 세워

실행해 보도록 하는 것입니다.
비록 좌절에서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리더라도 적극적인 자세로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한다면 상황은 충분히 개선될 수 있습니다.



나의 회복탄력성은 얼마나 될까요?

회복탄력성은 심리상담센터에서 검사를 받아보실 수 있는데요.
회복탄력성 검사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 부분으로

나누어 검사를 진행합니다.
검사를 통해 나의 회복탄력성을 알고있다면

어떠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더 잘 헤쳐나갈 수 있겠죠?

나에게 심리적 문제가 생겼다면 다양한 심리검사를 통해 체크해보는 시간을 가져봄으로써 무엇보다 상황대처능력에 대해 회복탄력성 지수로 확인해보는 것은 더 중요한 검사이겠죠?




현재 김동철 심리케어에서는
다양한 심리검사와 상담을 받아보실 수 있으며,
초기상담에 한해 개인상담 30%할인
,
가족 및 부부상담 20%할인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김동철 심리케어
방문상담을 원하실 경우,
카카오톡 옐로우 아이디 예약 시
초기상담 50%할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김동철 심리케어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 온라인 상담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상담으로 가볍게 궁금증을 해소 해보는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