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센터 김동철 심리케어/김동철 심리케어

[아동심리상담] 우리아이가 집중을 못해요,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마티스 Misul 2017. 1. 26. 13:45

"

우리아이가 집중을 못해요,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



오늘은 ADHD라 불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 관해서 이야기할게요.


ADHD는 주의력이 부족하여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이 나타나는 행동장애입니다.
주로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며 전체 아동기의 약5~7%정도가 증상이 나타나고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경우는 60~70%로 흔합니다.


ADHD의 증상은 여러가지로 나타나지만 크게 안절부절하고 불필요한 움직임을 보이는 과잉행동, 한 가지 일에 집중하지 못하는 주의산만, 충동적인 생각과 행동을 하는 충동성으로 나타납니다.
기타 증상으로는 인지발달과 학습에 어려움이 있거나 언어발달, 기억력과 실행능력 저하, 정서나 품행의 문제로도 나타나곤 해요.



ADHD의 원인도 3가지로 나뉘어져요.


1
유전적 요인
ADHD를 가지고 있는 아동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형제간의 발병률은 약30%내외이며 아동의 부모가 ADHD인 경우 약57% 정도로 높은 발병률이 나타납니다.

2
심리적 요인
부모의 잘못된 자녀 양육방법으로 인해 나타나기도 하며 부모의 심리적 문제, 방어기제  그리고 양육환경 등이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며 아동에게 ADHD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3
신경학적 요인
주의집중, 조작정보 등의 작동기억과 계획세우기 등 기억력, 사고력 등을 관장하는 전두엽의 기능이 저하되면 행동반응의 억제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런 ADHD를 치료하기 위해서 전문심리상담센터에 방문하여 
세부적인 검사를 통해 우리 아이에게 맞는 치료 방법을

제시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ADHD는 보통 만 7~10세경에 많이 진단이 내려지는데, 피곤하거나 일에 흥미가 없는 경우, 자신의 실력에 맞지 않는 주제로 과제를 하거나 심리적 우울과 불안이 있는 경우에도 집중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어
유심히 관찰해야 합니다.



ADHD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인지행동치료와 다양한 치료기법이 함께 진행되는데요. 주로 통합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약물치료도 같이 진행되기도 합니다.


또한, 성장기 아동에게 있어 주양육자는 ADHD에 대해 알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부모의 양육코칭이 포함된 상담을 받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성인의 경우에도 아동과 치료방법은 비슷하게 진행됩니다.


ADHD를 가지고 있는 아동은 일부러 안하는게 아니라 지금은 못하는 것임을 이해하고 부모의 반응을 조율하는 연습과 아이의 상황에 맞추어

부모의 반응을 조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DHD의 치료기간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증상에 대한 인내심과 이해를 가지고 꾸준하게 치료를 받는다면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누구보다 소중한 우리아이와 함께 상담치료를 통해

천천히 한걸음씩 내딛어 보는 건 어떨까요?




현재 김동철 심리케어에서는
다양한
심리검사와 상담을
받아보실 수 있으며,
초기상담에 한해 개인상담
30%할인,
가족 및 부부상담 20%할인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김동철 심리케어 방문상담을 원하실 경우,
카카오톡 옐로우 아이디 예약 시
초기상담 50%할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김동철 심리케어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 온라인 상담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상담으로 가볍게 궁금증을 해소 해보는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