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센터 김동철 심리케어/김동철 심리케어

목동심리센터 김동철심리케어-우리아이 혹시 자폐증이 아닌가요?

마티스 Misul 2014. 3. 25. 18:43

목동심리센터 김동철심리케어-우리아이 혹시 자폐증이 아닌가요?

 

친한 친구의 아들이 어릴적 또래 아이들에 비해서

말이 늦고 같은 말을 되풀이하며

눈 맞춤을 잘하지 못하고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속도가 늦어서

친구들 사이에서는 알고도 모른척 혹시

자폐증이 아닌가 의심을 하고 있었을 무렵

병원에서 자폐증이라는 진단을 받고 굉장히 힘들어 했던 기억이 있다.

 

아이가 병이나 장애를 갖고 있는 경우 부모는 죄의식을 갖기 쉽다.

하지만 죄책감은 아이의 행동과 특성을 완하시키는데

전혀 도움이 되질 않기때문에 죄의식에서 빨리 벗어나야 한다.

 

아이를 최대한 정상아와 많이 접촉하도록 도와주며

아이가 보이는 행동이 특이해서 이목을 끄는것에

다른 사람들이 불편해 하는것 때문에 힘이들겠지만

아이를 위해서 꼭필요한 부분이다.

아이의 치료를 위해서는 부모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자페증은 치료 시간이 오래 걸리고  더디게 나타나지만

공을 드린것 만큼 나아지는것이 자폐증이다.

 

자폐증은 2세 이전에도 진단이 가능하고 치료가 빠르면

빠를수록 효과가 좋으니 자폐증으로 의심이 될때에는

전문의를 찾아 상담을 해보는것도 좋습니다.

 

자폐증과 비슷한 유사자폐증 중에는

후천적으로 점차 증상이 드러나는 자폐와

부모와 세상에 대한 불신감이 원인이되는 자폐도 있습니다.

유사 자폐 증상을 보이거나 진단을 받았다면

가장 먼저 엄마의 양육 태도를 고쳐야 합니다.

 

병을 간과 할경우 그어떤 질병보다 아이에게 치명적일수있습니다.

목동심리센터 김동철심리케어에서는

이분야의 최고의 선생님들로 구성되어

정상적인 언어. 사회성. 운동발달을 치료하십니다

 

▲위사진을 클릭하시면 김동철심리케어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